스테파노스 호티우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대 천연자원 경제학 박사, 유엔 환경계획(UNEP) 아·태 지역 자원효율성 수석조정관 / 스테파노스 호티우 유엔 국장은 일회용 플라스틱 가격을 높여서라도 사용 억제를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. 사진 UN ESCAP
스테파노스 호티우
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대 천연자원 경제학 박사, 유엔 환경계획(UNEP) 아·태 지역 자원효율성 수석조정관 / 스테파노스 호티우 유엔 국장은 일회용 플라스틱 가격을 높여서라도 사용 억제를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. 사진 UN ESCAP

각국의 플라스틱 규제 정책 강화 시점을 훑어보면 대부분 2015년 이후 속도를 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. 유엔(UN)이 2015년 9월 채택한 지속가능개발목표(UN SDGs)와 자국의 정책 흐름을 맞춰가는 나라가 많기 때문이다.

2016년부터 2030년까지 추진되는 유엔 SDGs에는 매년 3조3000억~4조5000억달러(4013조~5472조원)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다. 이 전 지구적 프로젝트의 3대 목표 중 하나가 기후 변화, 물, 생물 다양성 등의 ‘환경’이다. 물론 플라스틱도 포함된다.

특히 유엔으로서는 세계 인구의 52%(약 40억 명)가 모여 사는 아시아·태평양(아·태) 지역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. 인구가 많을 뿐 아니라 아·태 지역 내 국가 대부분이 환경 문제에 취약한 개발도상국이기 때문이다. ‘이코노미조선’은 한국이 포함된 아·태 지역을 담당하는 유엔 아시아·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(UN ESCAP)의 스테파노스 호티우 환경개발국장에게 전화 인터뷰를 요청했다.

4월 10일 성사된 인터뷰에서 호티우 국장은 “아·태 지역 내 많은 도시가 제대로 된 폐플라스틱 처리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”고 지적했다. 한국에 대해서는 “한국인 1명..

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
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
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
무료로 공개됩니다.
멤버십 회원이신가요? 로그인